대한민국의 대기업, 중견기업, 중소기업 기준
한국에서는 기업의 규모와 업력에 따라 대기업, 중견기업, 중소기업을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류합니다. 이러한 기준은 중소기업청(중소벤처기업부)이나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지침에 기반하여 결정됩니다.
대기업 (Large Enterprise)
매출액 기준: 연간 매출액이 5,000억원 이상인 기업을 대기업으로 분류합니다.
종업원 수 기준: 종업원 300명 이상인 기업을 대기업으로 분류합니다.
중견기업 (Mid-sized Enterprise)
매출액 기준: 연간 매출액이 300억원 이상 5,000억원 미만인 기업을 중견기업으로 분류합니다.
종업원 수 기준: 종업원 50명 이상 299명 미만인 기업을 중견기업으로 분류합니다.
중소기업 (Small and Medium-sized Enterprise, SME)
매출액 기준: 연간 매출액이 30억원 이상 300억원 미만인 기업을 중소기업으로 분류합니다.
종업원 수 기준: 종업원 5명 이상 50명 미만인 기업을 중소기업으로 분류합니다.
중소기업청에서는 위의 기준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및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 이러한 지원사업은 자금지원, 기술지원, 인력지원, 시장진출 지원, 교육 및 컨설팅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집니다. 또한, 중견기업도 중소기업의 지원 대상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며,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에 있는 중간 규모의 기업으로서도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
IB(Investment Banking)란?, 개념과 주요 특징 정리 (0) | 2023.08.03 |
---|---|
IB용어, Drag-along 개념과 특징 (0) | 2023.08.03 |
초전도체의 특징 및 문제점, 관련 분야 및 기업 (0) | 2023.08.02 |
IB 용어, LP(Limited Partner)와 GP(General Partner)의 개념 및 특징 (0) | 2023.07.27 |
기한이익상실(EOD)의 개념과 특징 (0) | 2023.07.24 |